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 15

제 55회 SQL 개발자(SQLD) 합격 후기 및 공부 방법

선택 배경 군대에서 생활을 하다보니 상병때 부터 너무 편해져서 아무것도 안하는 날이 늘어갔다. 이대로 전역하면 아무것도 남는게 없어 시간 낭비만 했다고 생각이 들까 싶어 뭐라도 해보자 하며 딸만한 자격증을 찾아봤다.  AdSP, SQLd 이 두가지가 무난하면서 어느정도 쓸모도 있을거 같았다. 그 중 입대전에 잠깐 다뤄본 SQL에 대한 시험인 SQLd라는 자격증 시험을 보게 되었다. 기본 배경1. 공부기간 : 목표기간은 시험일 기준 약 한달이었다. (그중 훈련 등의 이유로 제대로 공부할 수 있었던건 3주정도의 시간밖에 없었다.)2. 기반 지식 : 이 시험을 준비하기 전에 군대에서 진행한 파이썬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강의를 수강하긴 했지만 파이썬으로 데이터를 가공하기만 했어서 정규화나 DB설계 같은거는 몰랐..

자격증 2024.12.07

[백준] 10828(스택) - Python(파이썬) - 2 (feat. 파이썬 빠른 입출력, SYS)

저번시간에 이어서 마저 문제를 풀어보겠다. 나는 문제를 풀던중 어떻게 해도 안된다는것을 알았다. 왜냐면... input()으로 특히 반복적으로 값을 받으면, 시간이 오래 걸려서 시간 초과가 뜨기 때문이다. sys.stdin.readline() 그렇기때문에 import sys 를 한 다음에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 for i in range(n): cmd = sys.stdin.readline().upper().split() 이런식으로 sys.stdin.readline()을 활용하여 입력값을 받아야 한다. 만약 sys.stdin.readline()말고 그냥 input()을 사용하면 대게 시간초과가 일어난다. 이것을 사용하면 한줄씩 끊어서 받게 되고, split..

[백준] 10828(스택) - Python(파이썬) - 1 (feat. split() 사용법)

이번문제는 정수를 저장하는 스택 자료구조를 구현하고 주어지는 명령어를 처리하면 되는거라 간단한 문제인줄 알았다... 처음엔 스택이라는 클래스를 파이썬 기본 리스트를 활용하여 객체를 만든 뒤 각 명령어들을 input()명령어와 split()을 통해 받아서 실행시켰다. 이렇게 말이다. Stack 파이썬 구현 class stack: def __init__(self): self.a = [] # 리스트를 활용해 스택 구현 self.t = 0 # 스택의 크기를 저장할 변수 t 선언 def push(self, add): # 인자를 받아 리스트에 추가 self.a.append(add) self.t += 1 def pop(self): # 가장 최근에 삽입한 값 출력 및 삭제 if self.a: temp = self.a[..

[백준] 24416(피보나치 수 1) - C언어

안녕하세요 오늘은 백준 24416번 피보나치 수 1 문제에 대해 해설하겠습니다. 기말시험과 방학 여행때문에 이제서야 왔네요... (귀찮았던건 안비밀...) 군대 가기 전까지 다시 열심히 달리겠습니다! 이 문제는 피보나치 수를 활용한 가장 기본적인 동적 프로그래밍 문제이다. 각 의사코드에 맞게 피보나치 수를 재귀호출,동적프로그래밍으로 작성후 각 코드의 실행 횟수를 출력해 빠르기를 비교하는 문제다. 우선 간단하게 피보나치의 수가 뭐냐면, 피보나치 1 1 2 3 5 8 13 21... 이런식으로 앞의 두 숫자의 합이 그 다음 숫자로 이어지는 수열을 피보나치 수 라고 한다. 이제 재귀호출로 푼 코드부터 살펴보자. 재귀호출 재귀호출은 의사코드와 똑같이 써도 된다. 이렇게 말이다. 아래는 의사코드이다. fib(n)..

1. 행렬(Matrix)

행렬의 정의 수들을 직사각형 모양에 행과 열로 배열한것. 이때 각각의 숫자를 행렬의 성분(entry)라고 한다. 이때 m개의 행과 n개의 열을 갖는 행렬을 보고 이 행렬은 크기(size)가 m*n행렬이라고 한다. 이때 m = n이면 n차 정사각 행렬이라 한다. 따라서 위의 행렬의 크기는 8*6행렬 이다. 행렬의 주대각선은 a11, a22, a33, ... ann이렇게 n행 n열의 원소들의 집합을 일컬어 행렬의 주대각 선이라 한다. 선형 방정식, 선형 연립 방정식 각 미지수의 계수와 우항이 실수이고 이때 미지수의 차수가 1차일 때 일차식과 상수항으로 이루어진 방정식을 선형 방정식이라고 한다. 이 미지수 들에 관해서 위 사진처럼 유한개의 선형 방정식의 모임을 선형 연립 방정식 이라고 한다. 만약 이때, 모든..

[백준] 14915(진수 변환기) - C언어

이번 문제는 정수 m, n을 받아서 10진수인 m을 n진수로 바꾸는 문제였다. 바로 저번문제에서 이진수로 변환시키는 문제처럼 하되, n진수 표현만 하면 되기에 생각보다 할만 했다. 이전 백준 문제 풀이 10829(이진수 변환) 보러가기 --> https://leedongchan.tistory.com/entry/%EB%B0%B1%EC%A4%80-10829%EC%9D%B4%EC%A7%84%EC%88%98-%EB%B3%80%ED%99%98-C%EC%96%B8%EC%96%B4 [백준] 10829(이진수 변환) - C언어 이번 문제는 정수 범위 (1 ≤ N ≤ 100,000,000,000,000)의 자연수를 받아서 이진수로 만드는 문제였다. 이 문제를 보고 100조개의 정수를 이진수로 바꾸면 대체 얼마나 많은 정..

[백준] 10829(이진수 변환) - C언어

이번 문제는 정수 범위 (1 ≤ N ≤ 100,000,000,000,000)의 자연수를 받아서 이진수로 만드는 문제였다. 이진수로의 변환은 long long 타입의 정수 n을 받아서 계속해서 2로 나누어 주며 이때의 나머지를 n을 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0이 될 때 까지 순서대로 쭉 저장 시켜주고 마지막에 저장한 수 부터 거꾸로 출력 시키면 된다. 이 문제를 보고 100조개의 정수를 이진수로 바꾸면 대체 얼마나 많은 정수 범위가 필요하지? 얼마나 많은 범위가 필요한거지? 이런 바보 같은 고민을 하면서, 배열을 사용할 생각을 안하고 이런식으로 long long을 활용한 코드를 짰다. 오답 코드 #include long long Z (long long n){ // long long 타입 n을 받아서 10의..

1. 벡터(Vector) - (3, 정사영과 내적)

내적 (Inner Product) 각 벡터의 절대값들의 곱(스칼라 양들의 곱) * cos 사잇각(두 벡터가 이루는 각) 각 성분을 모두 곱해주고 더한다. 위의 두 방법 모두 내적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보고 무언가 불편한점이 있는가? 그렇다. 벡터들의 곱인데 스칼라 양이 되었다. 왜 그럴까? 일단, 내적이란 무엇일까? 내적은 벡터들의 계산에 있어 '곱하기' 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생각해 보라, 방향이 서로 다른 두 벡터를 어떻게 곱하겠는가? 곱하면 방향성이 사라진다. 따라서 내적으로 값을 구하면 방향성이 사라지게 된다. 즉, 내적의 값은 스칼라가 된다. 내적의 값은 각 성분들의 곱이라 하지 않았는가? 밑의 그림을 보면 좀 더 직관적을로 알 수 있을것이다. 각 a벡터와 b벡터는 두가지 x, y의 성분을..

1. 벡터(Vector) - (2)

법선 벡터(Normal Vector) 평면 π 와 수직인 벡터 n을 법선벡터라고 한다. (어떠한 직선이나 평면에과 수직인 벡터를 법선 벡터라고 한다. )이때 π에서 한점 p0(x0,y0,z0)를 지나는 0이 아닌벡터 n(법선벡터) = (a,b,c) 에 수직인 벡터들이 이루는 평면 π는 를 만족하는 점 P(x, y, z)의 집합과 같다. 이렇게 표현할 수 있고, 이를 p0를 지나고 n을 갖는 평면의 방정식이라 한다. 평면의 방정식은 이렇게 간단하게 표현할 수 도 있다. 점과 평면 사이의 거리 점 P0와 평면 π : ax + by + cz + d = 0 사이의 거리 D는 다음과 같다 벡터 노름(Norm) 벡터의 노름은 라고 정의한다. 그렇다 벡터의 노름은 '원점에서부터의 거리'인 것이다. 직교와 정규직교 이..

Combinatorial Analysis - (2) (조합)

조합 n개의 물체로 부터 r개를 선택 할 때 가능한 조합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이항계수라고 한다. 이항계수는 조합론에서 등장하는 개념으로 주어진 크기 집합에서 원하는 개수만큼 순서없이 뽑는 조합의 가짓수를 일컫는다. 한국식으론 흔히 nCr이라 하는 조합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nCr = C(n, r)) 예제를 통해 더 자세히 알아보자. "공장에서 만들어진 핸드폰 중 n개의 스마트폰 중에 m개의 스마트폰은 결함이 있고, 나머지 n-m개는 정상이지만, 눈으로는 서로 구별이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이 중 두개의 결함이 있는 스마트폰들은 서로 연속할 수 없다고 가정한다면, 몇개의 정렬이 가능할까?" 두 개의 결함이 있는 스마트폰은 서로 연속할 수 없다. --> 정상인 스마트폰은 최소 하나의 결함 스마트폰..

공부/확률론 2023.04.13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