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프로그래밍 4

Combinatorial Analysis - (1) (수를 세는 원리와 순열)

수를 세는 원리 우리가 수를 셀 때 어떻게 세는지 설명할 수 있는가? 3명의 엄마가 있고 그 엄마 들은 각 3명의 자식들을 가진다. 이 중에서 엄마와 자식 한명씩 선택한다면 총 몇개의 그룹이 생기는가? 그렇다 답은 9명이다. 우리는 이미 직관적으로 3*3 = 9 라는것을 알고있다. 이 식을 일반화 해보면 case 1이 m개 이 m개의 case에 각각 관계된 case 2가 n개라면 이 두가지 case에서 얻을 수 있는 가능한 결과는 총 mn개이다. 우리가 수를 셀 때는 이런식으로 세고 있었던 것이다. 순열 다음은 순열에 대해 알아보자 순열은 서로 다른순서로 정렬하는 방법의 수라는 의미를 가졌다. 만약 우리가 n개의 물체가 있다면 n개의 물체를 정렬하는 순열은 아래와 같다. 이런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시..

공부/확률론 2023.04.11

컴퓨터 및 메모리구조 - (2)

저번시간에 말 했듯 이번시간에는 컴퓨터의 부팅과정을 살펴보고 프로그램의 실행을 메모리의 관점에서 살펴볼 것이다. 컴퓨터의 부팅 과정 우선 컴퓨터의 부팅과정이 어떻게 이루어 지는지 아는가? 컴퓨터의 부팅과정은 대략 1. ROM에 있는 바이오스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2. 부팅 프로그램이 주기억 장치에 로딩된다. 3. 운영 체제를 주기억장치에 로딩한다. 4. 운영 체제에 의해 프로그램이 로드된다. 5. 운영 체제 명령에 의해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런식으로 이루어진다. 위 동작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이렇게 나타낼 수 있다. 이런식으로 컴퓨터가 부팅되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실행(메모리 관점) 다음은 프로그램의 실행을 메모리의 관점으로 설명해 보겠다. 그 전에 메모리의 구조에 대해서 간단히 그려보자면 메모..

컴퓨터 및 메모리구조 - (1)

컴퓨터는 크게 1. 메인보드 2. 시스템 버스 3. CPU(ALU, 레지스터, 제어장치) 4. 메모리 5. 보조기억장치 6. 입출력장치(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등) 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의 기능 및 특성에 대해 간단히 적어보자면, 1. 메인보드 메인보드는 컴퓨터에서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고 부품간에 신호를 주고 받게 해주는 컴퓨터 본체의 엄마 같은 존재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맞출 때 cpu, gpu , ssd등만 고려하는데 그 부품들이 제 성능을 낼라면 메인보드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 다른 부품들도 고려하되 메인보드도 같이 고려해야 한다. 2. 시스템 버스 이름에서 짐작해 볼 수 있듯 시스템의 버스이다. 주요 고객층들은 데이터들로 데이터들의 전용 이동수단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cpu와 입출력 ..

데이터 추상화(data abstrantion) 와 ADT

데이터 추상화는 데이터 구조의 구현 세부 사항을 외부 인터페이스와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 과학의 핵심 개념이다. 데이터 추상화의 목표는 구현의 세부 사항을 숨기면서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위한 간단하고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것이라 효율적으로 액세스, 조작 및 저장할 수 있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데이터 구조의 주요 측면 중 하나는 데이터 추상화 및 추상화 데이터 유형(ADT)의 개념이다. 이 블로그 게시물은 데이터 추상화와 ADT가 의미하는 바와 데이터 구조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탐구한다. '데이터 추상화란 무엇인가?' 데이터 추상화는 구현 세부사항을 숨기는 동시에 데이터 구조의 필수 기능만 노출하는 프로세스다. 개발자가 구현을 알지 못한 채 데..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