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 n개의 물체로 부터 r개를 선택 할 때 가능한 조합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이항계수라고 한다. 이항계수는 조합론에서 등장하는 개념으로 주어진 크기 집합에서 원하는 개수만큼 순서없이 뽑는 조합의 가짓수를 일컫는다. 한국식으론 흔히 nCr이라 하는 조합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nCr = C(n, r)) 예제를 통해 더 자세히 알아보자. "공장에서 만들어진 핸드폰 중 n개의 스마트폰 중에 m개의 스마트폰은 결함이 있고, 나머지 n-m개는 정상이지만, 눈으로는 서로 구별이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이 중 두개의 결함이 있는 스마트폰들은 서로 연속할 수 없다고 가정한다면, 몇개의 정렬이 가능할까?" 두 개의 결함이 있는 스마트폰은 서로 연속할 수 없다. --> 정상인 스마트폰은 최소 하나의 결함 스마트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