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조합 2

Combinatorial Analysis - (2) (조합)

조합 n개의 물체로 부터 r개를 선택 할 때 가능한 조합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이항계수라고 한다. 이항계수는 조합론에서 등장하는 개념으로 주어진 크기 집합에서 원하는 개수만큼 순서없이 뽑는 조합의 가짓수를 일컫는다. 한국식으론 흔히 nCr이라 하는 조합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nCr = C(n, r)) 예제를 통해 더 자세히 알아보자. "공장에서 만들어진 핸드폰 중 n개의 스마트폰 중에 m개의 스마트폰은 결함이 있고, 나머지 n-m개는 정상이지만, 눈으로는 서로 구별이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이 중 두개의 결함이 있는 스마트폰들은 서로 연속할 수 없다고 가정한다면, 몇개의 정렬이 가능할까?" 두 개의 결함이 있는 스마트폰은 서로 연속할 수 없다. --> 정상인 스마트폰은 최소 하나의 결함 스마트폰..

공부/확률론 2023.04.13

Combinatorial Analysis - (1) (수를 세는 원리와 순열)

수를 세는 원리 우리가 수를 셀 때 어떻게 세는지 설명할 수 있는가? 3명의 엄마가 있고 그 엄마 들은 각 3명의 자식들을 가진다. 이 중에서 엄마와 자식 한명씩 선택한다면 총 몇개의 그룹이 생기는가? 그렇다 답은 9명이다. 우리는 이미 직관적으로 3*3 = 9 라는것을 알고있다. 이 식을 일반화 해보면 case 1이 m개 이 m개의 case에 각각 관계된 case 2가 n개라면 이 두가지 case에서 얻을 수 있는 가능한 결과는 총 mn개이다. 우리가 수를 셀 때는 이런식으로 세고 있었던 것이다. 순열 다음은 순열에 대해 알아보자 순열은 서로 다른순서로 정렬하는 방법의 수라는 의미를 가졌다. 만약 우리가 n개의 물체가 있다면 n개의 물체를 정렬하는 순열은 아래와 같다. 이런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시..

공부/확률론 2023.04.11
반응형
LIST